무기수 가석방을 받을 수 있는지 깊이 탐구해보려고 합니다. 최근에는 흉악한 범죄가 빈번하게 일어나, 많은 이들이 가석방 없는 종신형을 주장하고 있죠.
그런데, 실제로 무기수라면 모두가 20년 후에 가석방을 받을 수 있는 걸까요? 그 답을 찾기 위해 이론적인 관점에서 접근해보며, 이 글을 통해 함께 고민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무기수의 현황
2022년 기준 대한민국의 무기수 현황을 살펴보면, 남성 무기수는 1,313명, 여성 무기수는 49명으로, 총합하여 1,362명이 있습니다. 이들 무기수는 일반적인 수형자처럼 형의 확정 이후 분류 심사를 받게 됩니다. 그리고 그에 따른 급수를 부여받은 후, 해당 급수와 일치하는 교도소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무기수 가석방 현황
13년부터 22년까지의 무기수 가석방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15년에는 단 1명이 가석방되었으나, 2018년에는 40명의 무기수가 가석방을 받았습니다. 그 후로는 매년 약 10명 정도가 가석방을 받아 출소하였습니다.
이로 보아, 무기수에게도 확실히 가석방의 기회가 있는 것이 확인됩니다. 추가적으로, 매달 30일에는 정기 가석방이 이루어지며, 연간 5번의 특별 가석방이 있습니다.
이 특별 가석방은 삼일절, 부처님 오신날, 광복절, 교정의날, 그리고 성탄절에 진행되는데, 이때 장기수 및 무기수들이 함께 가석방의 기회를 얻게 됩니다.
무기수가 가석방을 받으려면?
무기수가 가석방을 받기 위한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봅시다. 법무부에서는 매달 중순에 가석방심사위원회를 개최합니다. 각 교도소로부터 가석방 적격기준이 전달되면, 해당 교도소의 분류심사 담당자가 이 기준에 부합하는 수용자들을 선별하여 초기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이 초기 인터뷰 과정을 수용자들 사이에서는 ‘싸인한다’는 표현으로 부릅니다. 그러나 ‘싸인’을 받았다고 해서 모든 수용자가 바로 가석방되는 것은 아닙니다. ‘싸인’을 받은 수용자들 중에서도 교도소 내에서 추가로 한 차례 심사가 이루어지며, 이 심사를 통과한 수용자만이 본격적인 가석방 심사를 위해 법무부로 추천됩니다.
2018년 석탄일에 두 무기수가 가석방을 받아 출소하였습니다. 어떠한 과정을 통해 그들이 가석방을 받았는지 회의록을 통해 파악해봅시다.
A씨는 1990년 존속살인으로 무기징역을 받았고, 28년 2개월 25일을 복역하였습니다. 그 기간 동안 산업기사 자격증, 기능경기대회 입상, 고입검정고시 합격 등을 통해 8%의 완화 요건을 충족시켰습니다. 또한 기능사 자격증 7개를 획득하였고, 가족 만남의 날과 가족 만남의 집 행사에 참여하였습니다.
B씨는 1991년 살인으로 무기징역을 받았고, 27년 1개월 9일을 복역하였습니다. 그는 고졸 검정고시 합격, 직업훈련 이수, 기능사 자격증 4개 취득 및 교정작품 전시회 수상 경력을 통해 4%의 완화 요건을 충족시켰습니다. 그 역시 가족 만남의 날 행사에 참여하였습니다.
이 두 무기수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징역 생활 동안 25년 이상 복역하였고, 다양한 자격증과 대회 입상, 검정고시 합격 등의 성과를 보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유기 징역형 수형자는 복역기간 중 어느 시점에서 가석방을 받았는지를 백분률로 표현합니다.
가석방 심사는 죄명이나 형기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해당 수형자가 사회로 복귀했을 때 재범의 위험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주로 고려합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교정교화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흉악한 범죄를 저지른 무기수도 적절한 교정 교화를 통해 다시 사회로 복귀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럼 무기수들의 생활은?
무기수들은 어떤 생활을 할까요?
무기수들은 국내 여러 교도소에서 그들의 급수에 따라 생활하고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그들의 생활 패턴은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현재 1,362명의 무기수 중, 각 패턴에 해당하는 수용자가 대략 1:1:1의 비율로 분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범적인 생활
400여명 정도는 가석방을 향한 희망을 갖고 규칙에 따라 모범적으로 생활하고 있습니다.
무기력한 생활
또 다른 400여명은 그들의 현실을 받아들이며, 교도소 내에서의 일상에 적응하며 무기력한 생활을 추구합니다.
막가는 인생
그러나 나머지 400여명은 반항적인 태도로 문제를 일으키며, 교도관이나 다른 수용자들과 충돌을 일으키곤 합니다.
무기수 가석방 마무리
이렇게 다양한 무기수들과 그들과 일상을 공유하는 교도관들의 상황을 생각해보면, 교도관들에게는 안전한 근무 환경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법에 관해 일상 친화적으로 다가갑니다.